PHP 개발자라면 한번은 알고 넘어가야 할, PSR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해봅니다. PSR-0, PSR-4 : 클래스 파일을 직접 include 하지 않고, 클래스 사용시 자동 로딩되는 기법. 완전 편함. - Composer 사용하면 끝. https://xpressengine.github.io/Composer-korean-docs/ PSR-3 -> 에러, 디버깅 등의 각종 로그를 남기는 규약을 남은 인터페이스. - MonoLog 사용하면 끝. https://github.com/Seldaek/monolog PSR-7 -> 웹페이지나 API 의 url을 서버내에서 호출할 경우 사용하는 HTTP Client 통신 규약을 담은 인터페이스. - Guzzle 패키지 사용하면 끝. https://github.com/guzzle/guzzle PSR-1, PSR-2 -> 코딩 가이드로 대소문자, 띄워쓰기, 줄바꿈에 관한 내용. -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클래스명 등을 PhpSchool, phpSchool, php_school 등 3가지로 혼재해 사용하는 참사를 막기 위함. 제발 읽어보세요. 크게 위 4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,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정광섭님 블로그에 설명되어 있습니다. https://www.lesstif.com/pages/viewpage.action?pageId=24445325 참고) 정광섭님은 내일 XECON에서 '처음 시작하는 laravel'세션을 발표하실 예정이십니다. https://xecon2015.xpressengine.com/session/with-laravel 여기서 잠깐 Laravel 광고) Laravel + PhpStorm 조합에선 PSR-0 ~ PSR-4 까지 모두 지원되며, PSR-7 은 HTTP 통신이 필요할 때 다음 명령으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composer require guzzlehttp/guzzle |
댓글